가이아의 측면

로이 애스콧의 가이아(1989)의 측면은 텔레매틱스와 사이버 공간의 해체된 경험과 물리적 공간에서의 구체적인 현실의 물리적 경험을 결합했다. 이와 관련하여 하이브리드 기술 매체를 통합한 “개척자의 날”과 후속 텔레매틱 아트 형태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를 형성했습니다. 가이아의 측면은 영국 화학자 제임스 러브록의“가이아 가설과 관련된 텍스트와 이미지의 생성 및 변환에 협력 텔레매틱 참여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함께 가져왔다.” 이 전체론적 이론은 지구(Gaia)가 통일된 살아있는 유기체이며 기후, 대기, 지리, 식물 및 동물이 지구의 활력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공동 개발되었다고 제안했습니다. [1] Participators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 세계 데이터 흐름에 액세스하고 기여할 수 있으며, 브루크너하우스(오스트리아 린츠의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의 중앙 사이트)의 세 가지 수준에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나타난 것은 지구의 초상화였다 “영적, 과학, 문화, 신화적 관점의 복합성에서 볼 수 있습니다.” [2]

브루크너하우스 의 상층에는 대형 수평 화면이 컴퓨터 모니터의 기존 수직 방향을 의도적으로 수축시켰으며, 시청자들은 전 세계에서 원격으로 기여한 이미지와 텍스트의 데이터 스트림을 응시할 수 있었습니다. (이 새의 시선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아스콧의 사이버네틱 작품에 영향을 미친 예술가와 작품 간의 수평적인 작업 관계와 관련이 있습니다.) 낮은 수준에서, 수평 컴퓨터 화면은 Ascott이 “정보 막대”라고 부르는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데이터 소비가 알코올로 인한 스타퍼가 아닌 마음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한 은유적인 칵테일 라운지입니다. 정보 막대에 나타난 네트워크 이미지는 어쿠스틱 센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소리에 반응하거나 카운터의 컴퓨터 마우스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가이아의 측면 - 유튜브
브루크너하우스 아래 어두운 외부 공간에서 시청자들은 트롤리(수평 자세)를 탈 수 있었는데, 이는 가이아에 대한 메시지를 번쩍이는 LED 스크린을 지나갔습니다. 시청자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지구와 관련이 있는 텔레매틱 의식의 출현된 품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경험에 물리적으로 종사하게 되었습니다. 아스콧은 자신의 에세이에서 설명했듯이, “텔레매틱 포옹에 사랑이 있습니까?” (1990년), 가이아처럼 공동 진화한 작품의 요소는 예술가, 뷰어, 예술작품, 자연(지구)과 문화(기술)의 구별이 조화롭게 협상되고 상호 자생하는 동안 단합되면서 흐려졌다.

[1] 제임스 이 러브록. 가이아, 지구상의 삶에 대한 새로운 모습. 옥스포드: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1979.

[2] 로이 애스콧, “텔레매틱 포옹에 사랑이 있다” 아트 저널,1990. http://telematic.walkerart.org/overview/overview_ascott.html 참조하세요

에드워드 A. 샨켄에서 발췌, “텔레매틱스에 사이버 네틱에서: 예술, 교육학, 로이 아스콧의 이론,” 로이 애스콧에서, 텔레매틱 포옹: 예술, 기술, 의식의 비전 이론, 에드워드 A. 샨켄, 에드.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프레스, 2001. http://www.ucpress.edu/books/pages/8867.php 참조